
토목기사 측량학 개념 정리
측량학(Surveying)은 지형, 구조물, 토목 프로젝트의 위치 및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학문입니다. 토목기사 시험에서는 측량의 원리, 계산 방법, 측량 기기의 사용법 등이 출제됩니다.
토목기사 측량학 개념 자세히 보기 👈측량학 주요 개념
📌 1. 측량의 기본 원리
- 평면 측량: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곡률을 무시하고 측정
- 지형 측량: 지형의 형상과 고도를 측정하여 등고선 작성
- 위성 측량(GPS): 인공위성을 이용한 정밀 측량
📌 2. 거리 측량
거리 측량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법으로, 기계적·광학적 방법을 사용합니다.
- 직접 거리 측량: 줄자 또는 측량 테이프 이용
- 광학 거리 측량: EDM(전자거리측정기) 사용
- GPS 거리 측량: 위성을 이용한 측정
📌 3. 각도 측량
각도 측량은 두 지점 간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.
- 방위각: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각도
- 수평각 측정: 트랜싯 또는 전자식 토탈스테이션 사용
- 고도각 측정: 수평면 기준으로 연직 방향의 각도
📌 4. 수준 측량 (고도 측량)
수준 측량(Leveling)은 기준점과 측정점 간의 높이 차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.
- 단순 수준 측량: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의 높이 차이 측정
- 삼각 수준 측량: 삼각함수를 이용한 고도 계산
- GPS 높이 측량: 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고도 결정
측량학 공식 모음
- 거리 보정식: D = Dm + (T × K) (기기 오차 보정)
- 고도 차이: Δh = 뒤측값 – 앞측값
- 방위각: Az = Az0 + ΣΔAz
- 곡률 보정: h = (d²) / 2R